메뉴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컨텐츠 바로가기

약용작물 이야기

하수오(何首烏)

- 기 원 종 : 하수오 Polygonum multiflorum Thunberg
- 과      명 : 마디풀과 / Polygonaceae
- 약용부위 : 덩이뿌리

 

하수오2(기원).jpg하수오3(기원).jpg

하수오1(기원).jpg하수오1.jpg하수오3.jpg하수오2.jpg하수오4.jpg


▶ 성상
  이 약은 덩이뿌리로 방추형 또는 덩어리이며 길이 5〜15cm, 지름 3〜10cm이다. 바깥면은 적갈색 〜 흑갈색이며 약간 울퉁불퉁하고 평평하지 않으며 얕은 홈이 있고 불규칙한 주름 무늬와 세로홈이 있다. 또한, 가로로 긴 껍질눈 또는 연속적인 줄무늬가 있고 양쪽 끝에는 한 개의 잘린 자국이 뚜렷하며 섬유상 유관속이 노출되어 있다. 질은 질기고 단단하여 절단하기 어렵다. 자른 면은 연한 황갈색 또는 연한 적갈색이고 가루성이며, 피부에는 4∼11개의 원형에 가까운 이형유관속 고리들이 모여서 “금문(錦紋)”이라 불리우는 꽃무늬를 이루고 있다. 중앙의 목부는 비교적 크고 때로 목심을 볼 수 있다. 이 약의 횡단면을 현미경으로 볼 때 코르크층은 수열의 세포로 되어있고 그 안에는 갈색물질이 들어있다. 사부는 비교적 넓고 원형에 가까운 이형유관속, 즉 복합유관속 4∼11개가 흩어져있다. 별도로 한 종류의 유관속이 뿌리의 중앙에 있는데, 이 유관속은 하나로 된 유관속이다. 유관속은 모두 측립유관속이다. 형성층은 고리를 이루고 있다. 목부는 도관이 비교적 적고 주위에는 가도관 및 소수의 목부섬유가 있다. 뿌리의 중심에는 1차 목부가 있다. 유세포에는 옥살산칼슘 집정 및 전분립이 들어있다.  이 약은 냄새가 없고 맛은 약간 쓰고 떫다.

 

▶ 채취 및 가공
  가을철과 겨울철에 잎이 시들었을 때 채취하여, 양 끝을 제거하고 씻어서 큼직하게 덩어리로 썰어 말린다.
가을에 덩어리진 뿌리를 캐어 물에 씻고 적당한 크기로 자르거나 쪼개어 햇볕에 말린다.

 

효능/효과

 두통, 허리와 다리가 시큰거리며 아프고, 발바닥 뒤꿈치가 아프며, 밤에 소변이 잦을 때, 나이는 많지 않으나 머리카락과 수염이 회백색으로 변할 때, 어지러움, 허리와 무릎에 힘이 없을 때, 근육과 뼈가 시큰하게 아플 때, 유정(정액이 저절로 나오는 병증), 여성 성기의 부정출혈과 끈끈한 액체가 끊임없이 계속 흘러나올 때, 음식을 먹지 못하고, 가슴 속이 막히고, 토하고 싶어도 잘 토해지지 않을 때, 설사, 간에 생긴 염증(간염), 종기, 목 뒤나 귀뒤, 겨드랑이 사타구니 쪽에 크고 작은 멍울이 생겼을 때, 치질에 도움이 된다.

보혈약으로서 간·신을 보하고 정·혈을 보하며 뼈와 힘줄을 든든하게 하고 대변을 통하게 하며 헌 데를 아물게 한다. 허약한 데, 병후 쇠약, 혈허증, 간신이 허하여 허리와 무릎에 힘이 없는 데, 가슴두근거림, 잠장애, 변비, 신경쇠약, 머리칼이 일찍 희어지는 데, 말라리아, 이슬, 창양, 치질, 결핵 환자의 보약으로 쓴다.

      

▶ 용법/용량
  내복 : 하루 9~18g

 

▶ 저장법
  밀폐용기, 바람이 잘 통하는 건조한 곳에 두고, 좀을 방지한다.
 

내용 및 사진출처 : 국가생약정보 (https://www.nifds.go.kr/nhmi/hbdc/ofcmhbdc/list.do)